
보건복지부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을 역대 최대 인상률인 6.51%로 결정했습니다. 기초생활보장 제도의 실질적인 보장성을 강화하고, 더 많은 국민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인상의 주요 내용과 함께, 급여별 선정기준 및 제도개선 사항들을 자세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세제개편안 주요 내용에 대한 내용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주요 내용 📈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고시한 것으로, 2025년 현재 14개 부처 80여 개 복지 사업의 선정기준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특히 1인 가구에 대한 인상률이 높게 적용되었습니다. 이는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이 74.4%에 달하는 현실을 반영한 조치입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가구원 수별)
가구원 수 | 2025년 (원/월) | 2026년 (원/월) |
---|---|---|
1인 | 2,392,013 | 2,564,238 |
2인 | 3,932,658 | 4,199,292 |
3인 | 5,025,353 | 5,359,036 |
4인 | 6,097,773 | 6,494,738 |
5인 | 7,108,192 | 7,556,719 |
6인 | 8,064,805 | 8,555,952 |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51% 인상되었으며, 1인 가구는 7.20% 인상되어 더 높은 증가율이 적용되었습니다.
생계급여: 확대된 지원 대상 및 제도 개선 ✨
2026년도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32%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곧 최저보장수준이 되며, 선정기준 인상과 함께 다양한 제도 개선을 통해 더 많은 가구에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청년 근로자의 자립을 돕고 자동차 재산 기준을 완화하는 등의 노력이 포함되었습니다.
생계급여 선정기준 (최저보장수준)
가구원 수 | 2025년 (원/월) | 2026년 (원/월) |
---|---|---|
1인 | 765,444 | 820,556 |
2인 | 1,258,451 | 1,343,773 |
3인 | 1,608,113 | 1,714,892 |
4인 | 1,951,287 | 2,078,316 |
생계급여 제도개선: 청년 및 다자녀 가구 혜택 확대
- 청년 근로·사업소득 공제 확대: 추가 공제 대상이 29세 이하에서 34세 이하로 확대되고, 추가 공제금은 40만 원에서 6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 승합·화물자동차 및 자녀가 2인 이상인 다자녀 가구에 대한 일반재산 환산율 적용 기준이 완화됩니다.
예시: 청년 근로소득 공제 혜택
근로소득이 월 100만 원인 30세 B씨(1인 가구)는 2025년에는 월 6만 원의 생계급여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2026년에는 청년 근로소득 추가 공제(60만 원+30% 공제) 혜택으로 소득인정액이 70만 원에서 28만 원으로 감소하여, 월 약 54만 원의 생계급여를 받게 됩니다.
예시: 다자녀 가구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
자녀가 2명인 C씨 가구(4인 가구)는 차량가액이 450만 원인 7인승 승용차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차량 가액이 100% 월 소득으로 환산되어 수급자로 선정되지 못했지만, 2026년부터는 다자녀 기준 완화로 자동차 가액의 4.17%인 19만 원만 월 소득으로 산정됩니다. 이로 인해 소득인정액이 169만 원으로 감소하여 월 39만 원의 생계급여를 받게 됩니다.
이번 인상 및 제도개선으로 약 4만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 수급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소득 인정액에 따라 실제 지원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의료·주거·교육급여 상세 내용 🏥🏠📚

생계급여 외에도 의료, 주거, 교육급여의 선정기준이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인상에 따라 함께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각 급여별로 주목할 만한 변경 사항들이 있어 꼼꼼히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6년도 급여별 선정기준 (1인 가구 기준)
구분 | 2025년 (원/월) | 2026년 (원/월) | 선정기준 |
---|---|---|---|
생계급여 | 765,444 | 820,556 | 중위 32% |
의료급여 | 956,805 | 1,025,695 | 중위 40% |
주거급여 | 1,148,166 | 1,230,834 | 중위 48% |
교육급여 | 1,196,007 | 1,282,119 | 중위 50% |
주요 변경사항 요약
- 의료급여: 과다 외래 이용 관리를 위해 연간 365회 초과 시 본인부담률 30%를 적용합니다. 부양의무자 부양비는 10%로 완화되고, 항정신병 장기지속형 주사제 본인부담률이 5%에서 2%로 인하됩니다.
- 주거급여: 임차가구의 기준임대료가 급지별·가구원수별로 올해 대비 1.7만 원~3.9만 원 인상됩니다.
-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가 올해 대비 평균 6% 인상되며, 초등학교 50만 2,000원, 중학교 69만 9,000원, 고등학교 86만 원으로 지원 금액이 상향됩니다.
2025년 외래·약국 본인부담 개편안은 현장 의료비 부담 우려를 고려하여 충분한 숙의를 거쳐 재검토될 예정이며, 당분간 기존 본인부담 기준이 유지됩니다.
핵심 요약 및 기대 효과 📝
이번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및 급여별 제도개선은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저소득층의 실질적인 생활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청년 자활을 위한 근로소득 공제 확대와 다자녀 가구의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는 맞춤형 지원의 좋은 예시입니다.
- 역대 최대 인상: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51% 인상, 특히 1인 가구는 7.20% 인상되어 보장 수준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 청년층 자립 지원: 청년 근로소득 공제 대상이 34세 이하로 확대되고 공제금이 인상되어 청년의 자활을 적극적으로 돕습니다.
- 더 넓은 복지 혜택: 생계급여 수급 기준 상향과 제도개선으로 약 4만 명이 추가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이번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복지 정책의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더욱 확대된 복지 혜택과 맞춤형 제도 개선이 필요한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보건복지부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관련 더 많은 정보는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세제개편안 주요 내용 분석: 무엇이 달라지나?
7월 31일 정부(기획재정부)는 2025년 세제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이번 개편안에서는 부동산 세제와 상속·증여세 분야에서 예년에 비해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 6.27 대출 규제로 집
5aq.24himaxgo.com
청년도약계좌 vs 미래적금 핵심 비교 분석, 지금 가입해야 할까?
2030 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하는 자산 형성! 현재 정부의 대표 지원 상품인 청년도약계좌와 곧 새롭게 등장할 예정인 청년미래적금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고민이 되실 것입
5aq.24himaxgo.com
가족간 계좌이체 한도 증여세 신고방법
가족 간 계좌이체, 증여세 폭탄 피하는 방법은? 가족 간의 금전 거래는 편리하지만, 자칫 증여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족 간 계좌이체 시 증여세가 부과되는 기준과 절세 전략을 알아보
5aq.24himaxgo.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vs 미래적금 핵심 비교 분석, 지금 가입해야 할까? (2) | 2025.08.08 |
---|---|
어르신 스포츠 상품권 신청 방법 사용처 총정리 (최대 15만원 혜택) (2) | 2025.08.03 |
2025년 세제개편안 주요 내용 분석: 무엇이 달라지나? (2) | 2025.08.02 |
SKT T멤버십 해외여행 혜택 대폭 확대! 인기 여행지 5곳에서 누리는 특별한 즐거움 (1) | 2025.08.02 |
2025년 9월부터 '예금자 보호 한도 1억 원' 확정! 내 돈 지키는 방법 총정리 (1) | 2025.08.01 |